첫 돌을 기점으로 분유를 끊고 우유로 넘어가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이 시기에 엄마들은 또 많은 고민을 하고 어떤 우유를 먹여야 할지 찾아보게 됩니다. 우유의 종류도 많고 아이들마다 먹는 양도 다르고 분유를 끊는 시기도 다르기 때문에 어려운 문제입니다. 절대적인 원칙은 없겠지만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우유 먹이는 시기와 방법에 대해 전달해보려고 합니다. 시기별로 우유를 얼마나 먹이면 좋을지, 어떤 우유의 종류가 있을지 찾아보았습니다.

아기에게 언제부터 우유를 먹이면 될까?
아기가 태어나서 모유, 분유를 먹기 시작하여 생후 12개월쯤 되면 보통 분유와 젖병을 떼고 우유를 먹기 시작합니다. 아기들 마다 시기가 다르겠지만 소화력이 좋아지는 시기는 12개월쯤이기 때문입니다. 즉, 처음 우유를 먹게 되는 시기는 돌 즈음입니다. 생후 12개월 미만의 아이에게 생우유를 먹일 경우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며, 설사, 구토 등의 가능성이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우유의 성분이 성장기 아이들에게 좋기 때문에 돌 이후부터 먹기 시작하여 성장이 멈추는 순간까지 먹으면 좋다고 합니다. 어른들의 경우에도 철분 섭취를 위해 꾸준히 우유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기별 우유의 적정 섭취량
돌이 지난 아기는 일반적으로 생우유를 먹일 것을 권장하며 섭취량은 400~500ml 정도입니다. 우유량이 많으면 자연스럽게 식사량이 줄어들게 되고, 영양적 불균형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24개월 전에는 저지방우유나 무지방 우유를 먹이지 않습니다. 이 시기의 아이에게는 지방이 반드시 필요한 영양분이기 때문입니다. 아기가 과도한 비만이라거나 성인병 등의 가능성이 없다면 일반 우유를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아이가 돌이 지났어도 고기, 야채 등 철분이 풍부하며 고형의 음식을 섭취하지 못한다면 우유보다는 계속 분유를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모유를 먹는 아이라면 돌이 지났어도 굳이 우유를 먹지 않아도 됩니다. 분유를 먹던 아이에게 우유로 바꿔줄 때는 바로 줘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분유를 먹었을 때 문제가 없었던 아이라면 우유에도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다만 따뜻한 분유를 먹던 아이가 찬 우유를 먹게 되면 놀라거나 거부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니 중탕하거나 살짝 데워서 주면 좋습니다. 소아과 전문의는 우유를 따뜻하게 데울 경우 단백질 변성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너무 차갑게 먹이지는 않되 시원하게 주는 것이 좋다고 하니, 참고합니다. 따뜻하게 데우는 경우 30초 내로 돌려주는 게 좋다고 합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우유를 젖병에 담아주지 않고 컵에 따라서 먹는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컵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유 팩은 한번 개봉하면 균이 번식하기 시작합니다. 신선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바로바로 먹이는 것이 좋으며, 유통기한이 지난 우유는 아이에게 먹이지 않도록 합니다. 위의 내용을 참고하여 아이에게 시기별로 적정한 양의 우유를 제공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어떤 우유를 먹이면 좋을까?
생우유, 멸균우유, 킨더밀쉬 등 다양한 형태로 아이에게 우유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멸균우유를 주는 가정이 많습니다. 위생적으로 안전하며 장기간 상온에서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멸균 우유는 고온에서 멸균하기 때문에 열에 민감한 성분은 줄어들고 단백질이 다소 변설될 수는 있지만 영양소에 있어서는 일반 우유와 차이가 크지 않다고 합니다. 냉장 보관하던 우유를 거부하는 상황이나 외출 시에는 간편하게 멸균우유를 먹이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가 두 돌이 지나면 비만과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해 서서히 지방 섭취를 줄여가는 것이 좋습니다. 지방은 두뇌 발달에 중요한 영양소이지만 우유네는 좋지 않은 포화 지방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24개월이 지나면 저지방, 무지방 우유로 바꿔주도록 권장됩니다. 생우유를 거부하는 아이들이 있는데, 이런 아이들은 킨더밀쉬를 먹이기도 합니다. 분유와 맛이 비슷하기 때문에 생우유로 가기 전 단계에 중간 과정으로 킨더밀쉬를 먹이기도 합니다. 멸균 우유처럼 무균 처리하여 상온 보관이 가능하며 다양한 영양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성장이 더딘 아이들이 먹으면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너무 오래 먹일 경우 생우유로 넘어가기 어려워지니 짧은 기간 적응하고 생우유로 넘어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유를 적게 먹어 걱정인 아이는 대체식품으로 칼슘을 보충해 줄 수 있습니다. 치즈, 요구르트, 멸치 반찬 등의 음식으로 보완해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유가 칼슘의 흡수율이 좋고 간편하기 때문에 우유로 섭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우유를 적게 먹이는 아이라면 고칼슘우유가 도움이 됩니다.
다 같은 우유여도 시중에 판매 중인 다양한 가격대, 브랜드의 우유들이 많습니다. 아이의 상황과 목적에 따라 원유의 함량이나 추가로 첨가된 내용들을 꼼꼼히 살피고 아이에게 제공해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육아 라이프 > 유아식 레시피&재료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부'를 활용한 아기 반찬 레시피 (0) | 2023.03.01 |
---|---|
아기에게 생선 먹이는 시기와 방법 (0) | 2023.02.28 |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노오븐 아기 간식 레시피 (0) | 2023.02.28 |
이유식 육수와 큐브 만들기, 보관방법 (0) | 2023.02.28 |
'양배추' 활용하여 아기 반찬 만들기 (0) | 2023.02.27 |